기계·설계 노트
기계도면에서 자주 사용하는 공차 기호와 해석법 정리
엠디노트 (MD Note)
2025. 4. 22. 16:30
반응형
기계도면을 해석하거나 작성할 때 꼭 알아야 하는 것이 바로 공차 기호입니다. 공차는 제조 허용 오차를 의미하며, 기능에 맞는 설계를 위해 매우 중요하죠. 이번 글에서는 도면에서 자주 등장하는 공차 기호 6가지와 간단한 해석법을 정리해드릴게요 😊
📌 공차란?
공차(Tolerance)는 제품을 가공할 때 허용되는 오차 범위를 말합니다. 정확히 같을 필요는 없지만, 기능상 문제가 없도록 허용치를 설정하는 것이죠.
📋 대표적인 공차 기호 6가지
기호 | 명칭 | 설명 |
---|---|---|
⌀ | 지름 | 원형 치수 앞에 사용 |
± | 허용 오차 | 정치수 기준 상/하 오차 표시 |
⊥ | 직각도 | 기준면과의 수직도 |
∥ | 평행도 | 기준면과의 평행 정도 |
⌒ | 원통도 | 원기둥 표면의 정밀도 |
⌓ | 진직도 | 선의 일직선 정도 |
더 많은 내용을 알고 싶으신가요? 아래 버튼을 눌러 기계설계 전문 블로그에서 확인해보세요!
▼ 본문 내용은 아래에서 계속됩니다. ▼
🔍 실무에서의 팁
- 📐 너무 타이트한 공차는 가공 비용을 높일 수 있어요.
- ⚙ 중요한 기능 부위에는 반드시 공차를 명시하세요.
- 📁 조립 부품은 상대 부품의 공차와 맞춰서 조절해야 합니다.
🟨 자주 묻는 질문 (Q&A)
Q. 공차는 무조건 적는 게 좋나요?
A.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. 불필요한 공차는 제조 단가만 올릴 수 있으므로, 기능적으로 필요한 곳에만 넣는 게 좋습니다.
Q. 기호를 도면에 삽입할 때 규칙이 있나요?
A. KS/ISO 기준에 맞춰 표기해야 하며, 기호의 위치는 치수선 또는 보조선 근처에 깔끔하게 넣는 것이 좋습니다.
✔️ 함께 보면 좋아요
📝 마무리하며
공차 기호를 잘 이해하면 도면 해석 능력이 훨씬 높아집니다. 현장에서 실수 없이 정확한 작업을 하기 위해, 오늘 배운 기호들을 꼭 기억해두세요! 앞으로도 기계 설계에 도움이 되는 정보들로 찾아올게요 😊
반응형